1)한국인의 호랑이
신화, 전설, 민화 등 예로부터 전해 내려오는 이야기 속에서 호랑이를 찾기란 어렵지 않다. 십이지 중 호랑이 이는 한국인에게 가장 친근한 동물로 꼽힌다. 2022년은 그중 검은 호랑이의 해, 임인년이다.
동국세시기 등 문헌에 따르면 우리 조상들은 매년 정월 초하루면 호랑이 그림을 대문에 붙였다고 한다 호랑이를 통해 나쁜 잡귀를 몰아내고 각종 재난을 막으면서 삼재를 없애기 위해서다. 대길과 가내 안녕, 복 받기를 기원하기 위해 호랑이 부적을 썼다. 산신, 산신령, 산군 등으로 불리며 숭배의 대상이 됐던 호랑이는 민족의 든든한 수호신으로 여겨졌다.
호랑이는 한반도에서 적어도 10만 년 이상 살아왔다. 국토 70% 이상이 산 지면서 산맥으로 연결된 한반도는 호랑이의 서식조건과 잘 맞았다. 충북 청원군(현재 청주시) 두루봉 동굴 유적에서 발견된 호랑이 뼈는 최소 12만 년 전의 것으로 추정된다고 한다. 청동기 시대에 그려진 울주 대곡리 반구대 암각화에서 처음 모습을 드러낸다. 고래, 거북, 사슴, 멧돼지 등 사냥 물 중 하나로 호랑이가 새겨져 있다. 또한 5세기 고구려 고분인 무용총의 수렵도에는 말을 탄 사냥꾼에게 쫓기는 호랑이 모습이 등장한다. 사신도 속 백호도 있다.
흔히 말하는 남주작, 북현무, 동 청룡, 그리고 서쪽의 백호다. 이 처럼 많은 곳에서 호랑이가 등장한다. 그래서 조선은 호담국이라 할 정도로 호랑이 이야기가 많다. 전 세계에서 호랑이는 아시아 대륙에만 분포했다. 그중 한반도 호랑이는 중국 동북부와 러시아 극동지역에 서식했던 호랑이와 뿌리가 같다. 우리는 백두산 호랑이, 한국 호랑이, 한국범이라 불렀다.
2)역사적 호랑이와 한민족
역사적으로 호랑이와 한민족은 수천 년간 균형 잡힌 관계를 유지했던 것으로 보인다. 호랑이를 없애기 위해 국가 차원에서 나선 건 조선 건국 이후다. 불교 이념에 입각해 살생을 금한 고려와는 구별된다. 조선 태종 때는 호랑이 사냥을 위한 별도 부대인 착호갑사를 처음 중앙에 설치했다고 한다. 한양 도성에 수시로 호랑이가 출몰할 정도로 조선은 호랑이가 많은 나라였다. 선조 때는 창덕궁 안에 호랑이 새끼를 낳았다는 기록이 있다고 한다. 민간의 피해도 극심했다 1734년 여름부터 가을까지 전국에서 140명이 호환을 당했다고 한다. 상황이 이렇자 조선 후기 실학자 정약용의 목민심서에서는 수령이 백성을 위해 제거해야 할 세 가지 해악으로 도적, 귀신 무리, 그리고 호랑이를 꼽았을 정도였다. 동해안 지역에서는 호환으로 죽은 혼을 위로하고, 호환을 예방하기 위해 범굿을 벌이기도 했다고 한다. 조선 시대 500년간 지속적으로 호랑이 사냥에 나선 결과 한반도에서 호랑이 개체 수는 급격히 줄었다.
3)한반도 호랑이의 멸종
결정적인 호랑이의 명맥이 완전히 끊긴 건 일제강점기 때 백성을 해로운 짐승으로부터 보호한다는 명목으로 대대적인 맹수 사냥(해수구제 정책)에 나섰다. 결국 1924년 경북 경주를 마지막으로 남한에서 호랑이가
자취를 감췄다. 북한에서는 1987년 자강도에서 잡힌 수컷 호랑이가 마지막으로 포획된 호랑이이다.
한반도 내 명맥은 끊겼지만 호랑이는 여전히 우리 역사와 민족, 언어, 문화적 상징으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한다. 특히 한반도 형상을 닭 또는 토끼로 비유했던 일본에 맞서 20세기 초 우리 영토를 호랑이 모습으로 그리기 시작했다. 그리고 우리 국민 4분의 3 이상은 호랑이를 대한민국을 상징하는 동물로 생각한다는 연구 결과도 있다고 한다. 그래서 1988년 서울 올림픽(호돌이)과 2018년 평창 동계올림픽(수호랑) 마스코트가 호랑이인 것만 봐도 그렇다.
앞으로 한반도에 백두산 호랑이를 다시 볼 수 있을지 모르지만 2022 호랑이해(임인년)에는 모두 건강하고 빠른 일상 회복이 되었으면 합니다.
'생활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오미크론 전파 속도 델타변이 2.5배 빨라 (0) | 2022.01.04 |
---|---|
mRNA백신과 DNA백신의 차이 (0) | 2022.01.01 |
노인 단독가구 월소득 180만원 이하면 2022년 기초연금 받을수있다 (0) | 2021.12.30 |
2022년 쉬는 날 ,2022년 1월1일 대체공휴일 (0) | 2021.12.29 |
마스크 가드 착용 때 마스크 방역효과가 떨어질 수도 있다고 합니다 (0) | 2021.12.28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