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금리란 무엇인가?
(2) 기준금리란?
(3) 금리와 인플레이션 관계.
(4) 인플레이션과 주식 시장의 관계.
(1) 금리란 무엇인가?
금리는 빌려준 돈이나 예금 따위에 붙는 이자 또는 그 비율을 말한다. 이자 또는 이자율이라고 하는데 금융시장에서 이자율, 금리를 같은 뜻으로 사용한다. 금리에는 여러 가지 용어가 있다.* 명목 금리* 실질 금리* 정책 금리(기준 금리)* 시장 금리* 표면 금리* 실효 금리이러한 것들이 다 금리에 속 한다. 또한 우리가 은행에서 접하는 단리, 복리까지 여러 가지 용어들로 사용되고 있다.여기서 우리가 가장 많이 접하는 정책금리(기준금리)에 대해서 알아보고 금리인상과 인플레이션과의 관계를 알아보자.
우리나라는 중앙은행인 한국 은행에서 기준금리를 결정한다.

(2) 기준금리란 무엇인가?
기준금리란 말 그대로 기준이 되는 금리로 한 나라의 금리를 대표하는 정책금리로 각종 금리의 기준이 된다.중앙은행은 기준금리를 정해 각종 금리의 기준의 기준이 되도록 하고 있다. 또한 금리 상황은 경제상황에 맞춰 조정한다.
우리나라의 중앙은행인 한국은행에서는 금융통화 위원회를 통해 년 8회 기준금리를 정하고 있다. 기준금리는 콜금리, 시장금리, 예금, 대출 금리 등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친다. 이처럼 금리의 변화는 우리에게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꼭 알아 두어야 한다.
* 금리가 상승하면: - 저축상품 금리 상승- 저축증가, 소비감소- 경기 하락, 물가 하락
- 부동산 투자 감소- 경기 하락, 물가 하락
* 금리가 하락하면: - 저축상품 금리 하락- 저축감소, 보비증가- 경기 상승, 물가 상승
- 부동산 투자 증가-경기상승, 물가상승
이런 변화는 일상생활과 밀접한 관계가 있다.
(3) 금리와 인플레이션의 관계
먼저 인플레이션이 오면 화폐가치가 떨어지게 됩니다. 중앙은행은 물가를 적절한 수준으로 유지시키는 역할을 합니다. 물가를 안정시키기 위해서는 화폐를 다시 희소한 가치를 띠도록 하면 됩니다. 시중에 돌아다니는 많은 화폐를 다시 중앙은행이 회수하면 됩니다. 하지만 중앙은행이 직접적으로 시장에 돌아다니면서 지폐를 거둬들이는 방법을 쓰지는 않습니다. 그러므로 금리를 인상해서 은행이 이자를 더 높게 주므로 사람들이 자연스럽게 저축을 하고 싶게 하는 것입니다.
저축만 해도 이전보다 더 많은 돈을 벌 수 있기 때문입니다.
(4) 인플레이션이 주식 시장과 관계.
시중에 돈이 많이 풀려 물가가 상승하면 금리 인상에 대한 우려감도 불거지게 되는데. 금리가 올라가면 주식 시장은 충격을 받을 수 있습니다. 금리가 낮을 때는 이자가 없기 때문에 은행보다는 부동산, 주식 등에 투자를 하게 되는데, 만약 금리가 올라가면 투자한 금액을 회수해 안정적으로 괜찮은 수익을 거둘 수 있는 곳으로 이동하기 때문입니다.
'생활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텔스 오미크론 증상, 오미크론 증상 (1) | 2022.02.02 |
---|---|
전기차(친환경차) 체크 포인트, 법률 개정안 28일 부터 적용 (0) | 2022.01.30 |
소상공인 방역지원금 (0) | 2022.01.28 |
유전자증폭(PCR)검사, 자가검사키트, 신속항원검사 검사 방법 개편. (0) | 2022.01.27 |
청년희망적금 월 50만원 넣으면 36만원 더준다(청년 비과세 적금)가입조건 (0) | 2022.01.27 |
댓글